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매매일지

사회초년생 자동매매 봇으로 편안하게 자면서 돈벌기 1편 파이넥스 거래소 자동매매

by 자동매매, 차트분석 전문 블로그 2024. 7. 30.
반응형

 

아직까지 거래소 가입안하신 분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하시면 수수료 20% 할인이 가능하니 가입하시고 할인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https://partner.pionex.com/p/0j8KMg8xtZf

 

오늘 봇 설정관련해서는,

일단 현 시점에서 정말 아무것도 머리아프게 생각하고 싶지 않고,

일년에 한번 수확하듯이 거래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 보시면 좋습니다.

 

1. 파이넥스 거래소에서 현물 거래봇 설정하는 방법

안정적 수익을 위해서 우리는 현물 거래를 합니다.

선물거래는 청산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봇 설정 하시는 분들은 안전하게 가시는게 좋습니다.

 

파이넥스 거래소 홈에서

현물 → 거래봇을 선택합니다.

 

 

오른쪽 화면에서 거래봇을 보시면 여러종류가 있죠.

예시로 첫번째 BTC Long-term Moon Bot(500 grids)를 클릭합니다.

 

 

파라미터 창도 열어보시면 이 봇이 어떻게 거래되는지 알 수 있는데요,

찬찬히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현재 가격 그리드 범위, 즉 매수를 하는 거미줄 쳐놓는 범위는 10000불에서 10만불까지로 매우 큽니다.

그리드당 수익은, 그리드로 매수가 들어갔을 때, 예상 수익이 0.08~1.7% 수익이 예상된다는 말입니다.

여러개 포지션 들어가서 사고팔고사고팔고 무한히 반복해서

0.08~1.7%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말입니다.

결국 엄청 많이 거래를 해야하고, 평균적으로 수익은 0.5~6%정도 얻을 수 있을거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 봇은 4400명이 사용중이며, 일년 수익률이 161%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장투에 매우 적합한 봇으로 판단됩니다.

 

최소 투입금액은 7.548 금액이며 이것보다 더 많이 투입하면 돌릴 수 있습니다.

원하는 금액만큼 투입하고 Create BTC/Usdt Bot 을 클릭하면 작동 끝입니다.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만 해주시면 됩니다.

 

너무 간단하죠?

 

이렇게 끝나면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하나 더 보겠습니다.

 

2. DCA, 즉 마틴게일 매수법입니다.

 

 

마틴게일 봇을 선택합니다.

 

1코인 모드 다코인모드 선택가능한데요,

처음 하신다면 1코인 중 비트코인만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른 알트코인은 변동성이 워낙 심하기 때문이죠.

 

 

AI 전략 사용이 있는데요,

간단하게 일반형, 보수형으로 나뉘는데, 이렇게 선택하셔도 좋구요,

저라면 수동설정으로 해서

1년간 돌릴 생각으로 최대한 안전하게 돌릴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비트코인의 일년간 최대 하락폭을 계산하고,

그 하락에도 살아남을 수 있게 만드는 것이죠.

 

2021년 불장때부터 현재까지

기술적 반등없이 최대로 하락한 구간을 살펴보면

2022년 6월이었습니다.

딱히 큰 기술적 반등도 없이 48% 넘는 하락을 보여줬죠.

그리고 이내 절반가까이 반등하는 움직임을 보여줬습니다.

 

즉, 50퍼센트까지는 넉넉히 방어해야한다는 것이죠.

그리고 정말 안전하게 한다면,

최대 추가 매수를 했을 때 본인 자산의 50%까지는 넘지 않도록 매수하는게 이상적이겠죠.

 

타 거래소도 마틴게일 봇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파이넥스는 타 거래소와 다른점이 있는데요,

바로 단계별 매수 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자체 정의로 들어오면 위와 같이 보실 수 있는데요,

추매 간격도 임의로 하실 수 있고, 매수 수량도 임의로 별도 설정 가능합니다.

정말 좋은 기능이라고 보이는데요, 이렇게 하면 기계적으로 1% 내려갈때마다 사는 타 거래소 마틴게일과 달리,

피보나치 되돌림이라든지, 이런 수열을 활용해서 추매간격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매우 유용한 기능이죠.

 

 

오늘은 두가지 봇에대해 다뤄봤는데요,

파이넥스 거래소를 다뤘으니, 다음 시간에는 비트겟 거래소의 봇들을 다뤄보겠습니다.

 

다음 글로 찾아올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